13
이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.
“부처님이시여, 이 경의 이름을 무엇이라 불러야 하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고 지녀야 하겠습니까?”
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.
“이 경의 이름은 <금강반야바라밀경>이라 하고 그대들은 이 이름으로 받들고 지녀야 한다. 왜냐하면 이 이름에서 말한 반야바라밀이란 어떤 실체가 있는 반야바라밀이 아니니 그저 그 이름을 반야바라밀이라고 부르는 것이니라.”
“수보리야, 어떻게 생각하느냐? 여래가 설한 바 법이 있느냐?”
“부처님이시여, 부처님께서는 법을 설하신 바가 없습니다.”
“수보리야, 어떻게 생각하느냐?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티끌이 과연 많다고 할 수 있겠느냐?”
“참으로 많습니다. 세존이시여.”
“수보리야, 이 모든 티끌들을 여래는 어떤 실체가 있는 티끌이라고 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 이름이 티끌일 뿐이라고 하는 것이다. 여래가 설한 세계가 아니기에 단지 세계라고 부르는 것이니라.“
“수보리야,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? 서른 두가지 거룩한 모습을 통해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?”
“아닙니다. 세존이시여,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으로써 부처님을 본다면 참다운 부처님을 볼 수 없습니다.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서른두 가지 모습이란 진정한 참모습이 아니기에 그 이름이 서른두 가지 모습인 것입니다.”
“수보리야,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갠지스 강의 모래 수많은 많은 목숨을 보시한다고 할지라도 이 경전 가운데 네 구절의 게송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을 위해 말해준다면 이 복이 더욱 많으니라.”